한시를 영화로 읊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2-20 12:01
조회
28
첨부파일
100회 맞은 ‘한시를 영화로 읊다’…
“한시 한 구절로 삶이 바뀔 수도”
[한시를 영화로 읊다] 〈100〉 내가 가진 것
동아일보 2025.2.20


각본가로도 유명한 찰리 코프먼 감독의 ‘시네도키, 뉴욕’(2008년)에서도 우리는 비슷한 상황과 마주하게 된다. 주인공인 극작가 케이든은 아내의 별거 통보, 어린 딸과의 이별, 건강 악화 등으로 고통스러워한다. 케이든은 자신의 현실을 거대한 연극 세트로 만들어 재현하려고 하는데 현실과 가상이 넘나들며 혼란스러운 내면이 드러난다.
시에선 만 권 책의 존재를 의심하는 객에게 자신의 뱃속에 있다고 답해서 책이 실재하지 않음을 시사했다. 영화 제목의 시네도키란 대상을 그것의 속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다른 낱말을 빌려 표현하는 수사법 용어다.
시에서는 만권의 책이 시인의 정체성을 대신했다. 어린 시절부터 독서에 매달려 삶을 바꾸고자 했지만 중인이란 신분적 한계를 벗어날 순 없었다. 과거시험용 글을 누구보다 잘 썼지만 83세가 돼서야 진사시에 합격하곤 뱃속에 시와 글이 몇백 권이나 된다고 토로하기도 했다.(“司馬唱榜日·사마창방일, 口呼七步詩·구호칠보시”)
내가 가진 것이란 결국 내가 가질 수 없는 것이란 말의 다른 표현일 뿐이다. 애당초 부귀를 타고난 이들과 어찌 같겠냐고 얼버무린 회한의 말이 짙은 여운으로 남는다.